오래전 농경시대에는 날씨의 변화가 매우 중요했습니다. 그래서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1년을 24등분으로 구분 지어 각 절기에 따라 씨를 뿌리고 추구하는 시기를 결정하는 등 중요한 지표로 여겨왔습니다. 현대사회에서 절기는 계절의 변화를 짐작해 옷을 장만하거나 김장을 하는 정도로 이용되고 있는데요. 오늘은 24 절기의 유래와 봄·여름·가능·겨울 계절별 날짜 및 의미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
24 절기의 유래
24 절기는 고대 중국 황허유역에서 유래되었습니다. 당시 황허유역의 계절의 변화와 자연현상, 습도, 기온 등 관찰한 결과를 바탕으로 기본 틀이 만들어졌습니다. 점차 중국 전역으로 확대되어 화북지방을 기준으로 절기의 명칭이 정해졌다고 합니다. 우리나라는 조선시대 혹은 삼국시대부터 사용되었다고 추정하고 있으며, 백성들이 계절에 맞게 농사지을 수 있도록 '역서'를 맞들어 농부의 달력으로 활용하였습니다. 오랜 시간 농업문화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는데요.
위 도표를 살펴보면, 24 절기는 태양의 연주운동을 기준으로 24개로 나누고, 각 명칭을 붙여주었습니다. 황도에서 춘분점(0 º) 기준으로 15 º 간격으로 점을 찍어 24개로 나누었습니다. 보통 하루에 1 º 씩 움직이기 때문에 15일에 한 번씩 다음 절기를 만나게 되며, 평균 한 달에 2개의 절기가 있습니다. 또한 절기는 각 계절별로 6개씩 나누어져 있습니다.
계절별 날짜와 의미
■ 봄의 절기 (2월~4월)
- 입춘(양력 2월 3 or 4일) : 새해의 첫 번째 절기이며, 봄의 시작을 알린다. '입춘대길 건양다경'
- 우수(양력 2월 18 or 19일) : 추웠던 날씨가 누그러지고 봄기운이 완연하다. 봄비가 내리면 씨앗이 싹튼다.
- 경칩(양력 3월 5일 or 6일) : 삼라만상이 겨울잠에서 깨어난다. 완연한 봄을 느낄 수 있다.
- 춘분(양력 3월 20일 or 21일) : 낮과 밤의 길이가 같다고 하며, 점차 낮의 길이가 길어진다.
- 청명(양력 4월 5일 or 6일) : 봄 농사를 준비한다.
- 곡우(양력 4월 20일 or21일) : 씨를 뿌린 곡식에 비가 내린다. 곡우에 비가 오면 풍년이 든다는 말도 있다.
■ 여름의 절기(5월~7월)
- 입하(양력 5월 5일 or 6일) : 여름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로 보리가 익을 무렵이다.
- 소만(양력 5월 20일 or 21일) : 일조량이 풍부하고 만물이 생장하여 가득 찬다는 뜻으로 본격적인 농사가 시작된다.
- 망종(양력 6월 5일 or 6일) : 씨를 뿌리는 시기이다.
- 하지(양력 6월 21일 or 22일) : 낮시간이 연중 가장 긴 시기로 기온이 상승하기 시작한다.
- 소서(양력 7월 7일 or 8일) : 본격적으로 더위가 시작된다. 이 시기에는 과일과 채소가 풍족하다.
- 대서(양력 7월 22일 or 23일) : 더위가 가장 극심한 시기로 삼복더위를 피해 물놀이를 하거나 보양식을 먹기도 한다.
■ 가을의 절기(8월~10월)
- 입추(양력 8얼 7일 or 8일) : 가을의 시작을 뜻한다.
- 처서(양력 8월 23일 or 24일) : 더위는 한풀 꺾이고 신선한 바람이 부는 가을로 아침저녁 일교차가 크다.
- 백로(양력 9월 7일 or 8일) : 기온이 내려가 풀잎에 이슬이 맺히는 시기이다.
- 추분(양력 9월 22일 or 23일) : 낮과 밤의 길이가 같으나 점차 밤의 길이가 길어지며, 가을걷이를 하는 시기이다.
- 한로(양력 10월 8일 or 9일) : 찬 이슬이 내리는 시기이며 가을 단풍이 붉게 물들기 시작한다.
- 상강(양력 10월 23일 or 24일) : 서리가 내리기 시작하며 단풍이 절정에 이른다. 낮과 밤의 일교차가 심다.
■ 겨울의 절기(11월~1월)
- 입동(양력 11월 7일 or 8일) : 겨울이 시작되는 시기이며, 배추와 무가 가장 달고 맛있을 때로 김장을 한다.
- 소설(양력 11월 22일 or 23일) : 첫눈이 내리고 얼음이 얼기 시작한다.
- 대설(양력 12월 7일 or 8일) : 눈이 가장 많이 내린다. 대설날 눈이 많이 내리면 다음 해 풍년이 든다는 옛말이 있다.
- 동지(양력 12월 21일 or 22일) : 밤이 연중 가장 길고 낮이 짧은 날이다. 팥죽을 만들어 이웃과 나누어먹고 악귀를 쫓았다.
- 소한(양력 1월 5일 or 6일) : 한자로 작은 추위를 뜻하지만 실제 우리나라에서 일년 중 가장 추운 날이다.
- 대한(양력 1월 20일 or 21일) : 가장 큰 추위지만 실제 대한이 소한보다 덜 춥다. 때문에 '소한 때 얼음이 대한에 녹는다'는 속담도 있다. 겨울을 매듭짓는 절기로 본다.
오늘은 24절기의 유래와 각 계절별 날짜와 의미를 살펴보았습니다. 절기는 2016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으로 등재되었으며, 중국의 계절상황을 기준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한국의 기후와 약간에 차이는 있습니다. 하지만 여전히 태양력을 사용하는 농촌에서는 계절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절기를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.
'24절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4절기 입춘의 뜻과 날짜 입춘대길 건양다경 (0) | 2024.02.03 |
---|---|
24절기 소한의 뜻과 날짜 (1) | 2024.01.06 |
24절기 입동의 뜻과 날짜 (0) | 2023.11.07 |
댓글